인공지능(AI)이란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동시에 기계학습을 통한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는 테크놀로지를 말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인공지능(AI)의 경우로는 인공지능형 안내 서비스 로봇을 들 수 있는데, AI 안내 로봇이 대회 개막식부터 시상식, 상패 수여까지 이끌어 나가며 더 나아가 행사에 참석하는 내외국인들의 편의를 위한 행사 의전, 공항 영접과 안내, 행사 정보 전달, 국제행사 외국어 MC 로봇, 다국어 통역, 참가자 등록 접수, 참가자 설문조사와 향후에는 행사 동시통역 진행 등 미팅 테크놀로지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최근 마이스 산업에서 크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송도컨벤시아의 안내 로봇
동시통역은 해외 참가자가 참석하는 국제행사에 빼놓을 수 없는 서비스로, 통역사가 헤드셋을 통해 동시통역을 하는 전통적인 방식에서 스마트폰을 와이파이에 연결해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행사 참가자가 지역을 관광할 때 활용할 수 있는 통역서비스는 어플리케이션, 챗봇이 대표적이며, 이를 활용해 간단한 소통이 가능합니다. 인공지능 테크놀로지가 대중들에게 점차 노출됨에 따라서 자동번역의 시대가 다가올 것이 라는 예견과 함께 제2의 언어 학습에 대한 중요성이 줄어들고 있고, 미래에는 인공지능 서비스가 통역 서비스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행사 참가자의 더욱 원활한 비즈니스 네트워킹을 도울 것으로 기대됩니다.
대회 전으로도 인공지능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챗봇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챗봇은 행사 참가를 위한 질문사항에 자동으로 응답할 수 있기 때문에 행사 참가자는 신속하게 답변을 얻을 수 있으며, 반대로 주최자는 참가자의 고객서비스지원을 위해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문자메시지는 행사 주최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업에서 오랫동안 사용해온 대표적인 고객 마케팅 수단이며 과거엔 단순히 문자메시지를 전송해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정도에 그쳤지만 챗봇은 참가자의 질문사항에 실시간으로 응답해 행사 주최자의 추가 업무를 덜어줄 수 있습니다.
참가자 등록의 경우에도 인공지능으로의 얼굴 인식 기술의 도입되어 행사장 입장을 위해 출입증을 스캔하고 줄서는 대신 얼굴을 인식해 등록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공지능이 미팅테크놀로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함으로써 향후, 대회 준비 단계부터 사후까지 참가자의 행사장 체크인,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 일정표 확인, 행사 정보 검색 등을 간편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획팀 조현진 주임